본문 바로가기

Spring

Pinpoint Cloud

728x90

(1) PinPoint란?

Java로 작성된 대규모 분산 시스템용 APM 도구

   - APM: ·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의 약자, 응용 소프트웨어의 성능과 서비스 가용성을 모니터링, 관리하는 도구

Transaction 추적을 제공

임계치를 설정하여, Event 발생시 SMS 또는 Email을 통해 알림을 받을 수 있다.

 

(2)  버전

java 11

gradle 8.4

springboot 2.7.17

 

-  java 17, springboot3.0 이상은 핀포인트로 서버 구동시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3) PinPoint 설정하기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콘솔에 들어 간 후 Management & Goverrace에 PinPointCloude에 들어갑니다.

 

2.

Repository 설정
Admin Account 설정

 

Repository 생성을 누른 후 Respository설정과  Admin Account를 설정해줍니다.

 

3.

 

Repository의 상태가 운영중이 되면 Repository의 바로가기를 클릭해줍니다.

4.

 

2번에서 설정했던 Repository이름과 User ID,Password를 통해 로그인 해줍니다.

 

5.

 

설정 버튼을 눌러 Installation에 들어갑니다.

6.

다운로드 링크 이미지
서버 이미지

 

 

Download Link를 통해 파일을 다운 받아주고 구동 할 서버에 옴겨줍니다.

 

7.

 

tar -zxvf에 명령어를 통해 gz을 파일을 풀어줍니다.

8.

압축이 풀려진 파일 이미지
Agent Licence Key 위치

 

압축이 풀려진 파일에 들어가 pinpoint.license 파일에 Agent Licence Key를 입력해줍니다.

Agent Licence Key는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9.

전역 환경 변수를 영구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etc/profile로 들어가 Shift+G를 통해 최하단으로 이동 후 export 명령어를 통해 pinpoint파일이 위치한 경로를 환경변수로 지정해줍니다.

 

그 후 source /etc/profile 명령어를 통해  변경내용을 저장해주고 echo $pinpoinPath 명렁어를 통해 환경변수가 잘 저장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10.

java -jar -javaagent:${pinpointPath}/pinpoint-bootstrap-2.2.3-NCP-RC1.jar 
-Dpinpoint.applicationName=원하는이름 
-Dpinpoint.agentId=원하는아이디 빌드된서버파일.jar

 

applicationName,agentId, 빌드된 서버파일의 이름을 명령어에 넣고 실행하면 서버가 실행됩니다.

 

11.

 

다시 웹페이지로 돌아와서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보면 10번의 명령어에서 정하였던 applicationName으로 생성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구동된 서버에 request를 보내면 서버의 연결구조가 나타난다.

 

3. pinpoint cloud 사용 가이드

https://guide.ncloud-docs.com/docs/pinpointcloud-use

 

Pinpoint Cloud 사용

 

guide.ncloud-docs.com

 

 

728x90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 환경에 따른 log 분리  (0) 2024.04.16
MDC 및 로그레벨에 따른 로그파일 분리  (1) 2023.11.14
Spring Restdocs  (0) 2023.11.10
그라파나 설치 및 사용법  (0) 2023.11.07
프로메테우스 설치 및 사용법  (1) 2023.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