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docker에 Jenkins 설치 및 설정하기

yougeun 2024. 3. 5. 18:53
728x90

필수 SW

Docker

1.Jenkins설치

docker pull jenkins/jenkins

 

docker pull jenkins/jenkins 명령어를 통해 jenkins를 설치해준다.

 

docker Jenkins doc

https://hub.docker.com/r/jenkins/jenkins

 

Docker

 

hub.docker.com

2. Jenkins 구동

docker run -d -v jenkins_home:/var/jenkins_home -p 8080:8080 -p 50000:50000 --restart=on-failure --name jenkins-server jenkins/jenkins:lts-jdk17

-d:현재 실행하고 있는 다른 콘솔에서 실행

 

-v:docker가 실행되고 있는 환경의 디렉토리와 docker내부의 디렉토리와 연결

-> docker내부에서 발생된 데이터는 docker가 삭제될 경우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연결이 필요하다.

 

-p:container내부의 포트를 어떤 포트로 연결할것인지 설정

ex) -p a:b:container 외부에서 a포트를 사용하면 container의 b포트로 연결

 

--name: container 이름 설정

3.Jenkins 초기 비밀번호

docker logs jenkins-server

 

jenkins-server의 로그를 보면 jenkins의 초기비밀번호를 알 수 있다.

4.Jenkins 접속및 설정

4-1. 비밀번호입력

 

주소창에 설정해두었던 localhost:8080 포트로 접속하여 3번에서 획득한 비밀번호를 입력해준다.

 

4.2 플러그인 설치

 

Install suggessted plugins를 눌러 모든 플러그인을 설치해준다.

4-3 Admin User 생성

 

플러그인 설치가 끝난 후 Admin User를 생성해줍니다.

4-4 접속확인

5.Item 생성

 

jenkins 홈 화면의 새로운 Item을 눌러 프로젝트명을 입력하고 생성해줍니다.

 

6.Jenkins 확인

6-1 Build Steps

echo "Welocome to my first Project using jenkins"

Build steps에서 Execute shell에들어가 위의 Shell Script를 입력해줍니다.

6-2 Console Output 확인

 

만든 Item의 지금빌드를 누르고 원하는 빌드번호의 Console Output를 클릭해줍니다.

 

 

Build step에서 echo scrip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